이민 부교수
Lee Min
- 02-2164-4306
- liwengemma@catholic.ac.kr
- 다솔관 D228
연구분야
공간기획
연구키워드
전시기획
공간 콘텐츠 개발
문화 및 교육 공간
공간디자인 교육
교수소개
이민 교수는 가톨릭대학교 공간디자인.소비자학과에 재직하며 RISE 사업단의 지역혁신센터장을 맡고 있다.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학사,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스페이스건축학과 실내디자인전공 석사를 받았다. 중국 칭화대학교(Tsinghua University)에서 환경예술설계학과 1호 한국인 유학생으로 중국정부장학금(CSC)수혜를 받으며 쩡슈양(Zheng, ShuYang) 교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3년부터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공간디자인학과와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문화디자인랩 교수로 근무하면서 중국인문사회연구소(HK연구소), 커뮤니티상생센터 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문화와 교육 기반의 공간디자인기획과 공간콘텐츠 개발, 지역 및 커뮤니티 문화 요소 개발, 공간디자인 교육을 주된 분야로 삼아, 연구와 실무에 참여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자문위원, 문체부 어린이청소년도서관 총괄계획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저널편집위원, 고양시 국제꽃박람회 기술자문위원, 논산시 성과평가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으며, 국립중앙도서관 추천 국가우수강사로서 전국 도서관 관련 인력 교육에도 참여하였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운영위원회 위원, 국가문헌기록관 건립기술자문위원, (사)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편집위원 및 전시공간위원회 이사, (사)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실행이사, (사)대한전시디자인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Spatial Design & Consumer Studie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UK). She received Bachelor’s degree and a Master’s degree in Interior Design from Kookmin Univ. She later pursued doctoral studies at Tsinghua University in Beijing as a Korean student supported by a Chinese Government Scholarship. Since 2013, she has served as professor at the Cultural Design Lab and Dep. of Spatial Design in Kookmin University. Her primary fields of research and practice include cultural and education-based spatial design planning, spatial content development, the cultivation of regional and community cultural resources, and spatial design education. She has previously served as a member of the Plann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General director for children’s and youth libraries; Editorial committee member of the Journal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echnical advisory committee member for the International Flower Fair. Currently, she is a member of the National Library Steering Committee; technical advisory committee member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director and editorial board member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director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ultural Space Construction; and director of the Korean Exhibition Design Association.
최종학력
2013.01.10 | 중국 청화대학교 | 환경예술설계학과 | 디자인학 박사
연구실적
-
2024.10
| 교신저자
|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제59권 4호, pp.1-22
Application of new genre public art in community empowerment : a case study of Chongqing Tie Lu San Cun Village, China -
2024.10
| 단독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33권 5호, pp.90-101
천주교 박물관의 접근성 제고를 위한 인클루시브 디자인 적용 필요성 연구 -
2024.08
| 단독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87호, pp.11-22
천주교 박물관의 전시 구성과 연출 특성 연구
-
2025.03
| 공동
| 박영사
디자인의 이해
2025.08 어린이 친화성에 영향을 미치는 포켓 파크(Pocket Parks) 설계 요소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교신) 2025.08 장소정신론으로 본 중국의 민족 기반 지역박물관 전시공간디자인 특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교신) 2024.10 천주교 박물관의 접근성 제고를 위한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필요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단독) 2024.08 천주교 박물관의 전시 구성과 연출 특성 연구 - 서울 소재 천주교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단독) 2024.02 시각문법이론으로 본 중국 정치선전 포스터의 여성 이미지 분석 / 문화와 융합(KCI) / 한국문화융합학회 (교신) 2024.02 시각문법이론으로 본 중국 민국시기 광고 속 여성 이미지 변화 / 한국융합과학회지(KCI) / 한국융합과학회 (교신) 2024.01 어린이 문화유산 교육활용을 위한 역사 거리 선정 평가에 관한 연구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KCI)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교신) 2023.07 대학박물관의 지역 연계 프로그램 특성 연구 / 문화와 융합(KCI) / 한국문화융합학회 (교신)
2025. 디자인의 이해 / 박영사 (공저) 2022. 아이의 인생을 결정하는 공간의 힘 : 아이와 함께하는 추천 공간 14 / 라온북 (단독) 2021. 우먼 인 디자인_ 더 나은 일상을 향하여 / 서울디자인재단 (공저) 2020. 디자인의 이해 / 국민대학교 출판부 (공저) 2016. 중국건축도해사전 / 고려출판사 (공역) [2017 세종학술도서 선정]